여행
-
싱가포르 여행 넷째 날여행/싱가포르_Singapore 2023. 2. 18. 14:55
호텔 보스에서 일어나자마자 마지막으로 하룻밤 예약해둔 호텔 (M 호텔 싱가포르 시티 센터) 로 옮겼다. 한 박에 270 싱가포르 달러. 어느 정도 가격이 있는 호텔이었다. 실제로 고급스러웠고 방도 가장 넓었다. 케리어를 몇 개를 펴건 상관 없이 넓은 정도의 방이었다. 처음으로 욕조가 있었던 방이기도 했다. M 호텔도 가방을 맡겨두기만 하고 일정을 시작할 생각으로 갔으나, 얼리 체크인을 별도 결제 없이 할 수 있어서 체크인하고 일정을 시작했다. 아침을 어디에서 먹을지 아직 결정해두지 않아 호텔 로비에 물어보니 주변에 탄종파가 호커센터가 괜찮다고 추천받아 거기로 향했다. 거기서도 하이난 라이스 작은 사이즈 하나와 새우 국물 기반인 뭔지 대체 모르겠는 국수를 시켰다. 둘 다 괜찮았으나 하이난 라이스의 경우 전..
-
싱가포르 여행 셋째 날여행/싱가포르_Singapore 2023. 2. 17. 15:26
아침에 일어나 바로 차이나타운 쪽으로 향했다. 맥스웰 푸드 센터로 가 TIAN TIAN HAINANESE CHICKEN RICE로 가 밥을 먹을 생각이었다. 오전 10시 20분쯤이라 사람은 많이 없었다. 음식이 정말 맛있었다. 소스도 입맛에 딱 맞고, 닭가슴살도 전혀 팍팍하지 않았다. 점심에 또 다른 다양한 음식을 먹으려고 Chicken rice L을 시켜 둘이 나눠 먹었으나, 지금 생각해보면 각자 L을 시켜서 먹었어도 괜찮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맛있었다. 바로 맞은편에 있는 불아사에 갔다. Buddha Tooth Relic Temple이라 불리는 이 불교사찰은 실제 부처의 치아가 있어 유명한 사찰이라 하는데 사실 불교 신자가 아닌 나로서는 그저 그랬다. 다만 엘리베이터를 타고 맨 위층으로 올..
-
싱가포르 여행 둘째 날여행/싱가포르_Singapore 2023. 2. 16. 13:48
다음 날 아침은 일어나자마자 미리 예매해둔 숙소로 바로 짐을 옮겼다. 2일 밤을 예약해둔 숙소는 Hotel Boss 였는데 가격 대비 매우 만족스러운 숙소였다. 2일에 걸쳐 339.18 싱가포르 달러. 한 박당 약 169달러에 비싼 호텔은 아니었다. 호텔 상태는 매우 청결하고 방음도 잘 됐다. 첫째 날 밤보다는 호텔답다는 느낌이 들었다. 아침 9시 40분쯤에 새 호텔에 도착해서 체크인은 안 될 거라 생각하고 짐을 맡겨두고 여행을 시작할 생각으로 호텔에 갔으나, 얼리 체크인이 가능하다 해서 바로 방을 배정받았다. https://kr.hotels.com/ho567663/hotel-boseu-sg-clean-sing-gapoleu-sing-gapoleu/?chkin=2023-03-02&chkout=2023-0..
-
싱가포르 여행 첫째 날여행/싱가포르_Singapore 2023. 2. 14. 17:42
첫날 도착은 22시쯤으로 매우 늦은 시간이었다. 코로나 이후 첫 해외여행이라 혹시나 입국하는 대에 문제가 생기면 어쩌나 조금 걱정했지만, 입국 수속이 매우 빠르게 끝났다. 하와이 공항에서는 내려서 와이파이가 안 잡혔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일부러 그렇게 만든 걸로 안다) 창이 공항은 그렇지 않았다. 공항 와이파이도 잡을 수 있었고, 한국에서 구매해 온 와이파이 기기를 사용해 바로 인터넷 연결이 가능했다. 공항에서 바로 연결된 지하철을 타고 숙소에 가서 짐을 풀었다. 사실 늦은 저녁 도착이고 바로 다음 아침 일찍부터 다른 호텔로 옮길 생각으로 아주 저렴하고 지하철역에서 멀지 않은 호텔 (ibis budget Singapore imperial)을 골랐는데 호텔 방 문을 여는 순간부터 후회했다. 우선 방에 창문..
-
어느 인종도, 어떠한 문화도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사자의 도시, 싱가포르(Singapore)여행/싱가포르_Singapore 2023. 2. 14. 17:06
낯섦의 연속인 여행 속에서 현지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지금까지의 여행 중 딱 2곳에서 현지인이 된 듯한 편안함을 느꼈는데, 첫 번째는 일본이고, 두 번째가 싱가포르였다. 우선 일본은 사람의 생김새나 옷차림과 같은 문화가 매우 유사했다. 일본어가 조금 낯설다는 점을 제외하면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을 정도였다. 반면 싱가포르에서 느낀 편안함은 조금 달랐다. 싱가포르에는 매우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살고 있으니, 나의 인종이나 문화도 모두에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 듯한 느낌이었다. 만약 내가 아시아계 한국인이 아니었다면 일본에서는 편안함을 느끼지 못했을 것이다. 반면 싱가포르에서는 크게 불편하지 않았을 것 같다. 물론 중국계 사람들이 많은 것도 동아시아 문화권 사람이..